지난 포스팅 정말 토 나올 것 같았다.
아이콘 캡쳐해서 일일히 저장하고 그림 일일히 삽입하고..
그래도 오늘은 남은아이콘 모두 캡처해 놔서 마음이 좀 편하다.
오늘은 Select과 Modify 명령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.
1. Select
기능 | 아이콘 | 명령어 | 설 명 |
Deselect all | ![]() |
tn, "ESC", "Ctrl-K" | 선택한 모든 도면요소의 선택을 해제한다. |
Select All | ![]() |
sa, "Ctrl-A" | 보이는 레이어의 모든 도면요소를 선택한다. |
Select Entity | ![]() |
X | 하나 이상의 도면요소를 선택하거나 해제한다 (이 아이콘을 선택하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마우스 클릭이 동일한 역할을 한다) |
(De-)Select Contour | ![]() |
X | 시작점이나 끝점에 이어지는 연속된 선이나 호를 한번의 클릭으로 선택한다 |
Select Window | ![]() |
X | 두개의 선택포인트로 사각형을 만들어 사각형 안에 온전히 들어간 도면요소들을 선택한다. |
Deselect Window | ![]() |
X | 두개의 선택포인트로 사각형을 만들어 만들어진 사각형 안에 온전히 들어간 도면요소의 선택을 해제한다. |
Select Intersected Entities |
![]() |
X | 두개의 선택포인트로 선을 만들어 선에 접촉하는 모든 도면요소를 선택한다. |
Deselect Intersected Entities |
![]() |
X | 두개의 선택포인트로 선을 만들어 선에 접촉하는 모든 도면요소를 선택 해제한다. |
(De-)Select Layer | ![]() |
X | 선택한 도면요소에 해당하는 레이어의 모든 도면요소를 선택하거나 해제한다. |
Invert Selection | ![]() |
X | 현재 선택한 도면요소와 선택하지 않은 도면요소를 반전시킨다.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은 상태에서 클릭하면 전체선택과 전체해제가 된다. |
2. Modify
기능 | 아이콘 | 명령어 | 설 명 |
Move / Copy | ![]() |
mv, move | 미리 선택한 도면요소를 기준점을 선택해주고 이동할 점을 선택하여 이동 및 복사를 한다. |
Rotate | ![]() |
ro, rotate | 미리 선택한 도면요소를 첫번째 선택점을 중심으로 참고점을 선택하고, 이동할점을 선택해서 회전을 시킨다. 팝업을 통해 원본을 지우지않고 유지하거나 원하는 숫자만큼 복제할 수 있다. 속성과 레이어를 변경시킬 수 있다. |
Scale | ![]() |
sz, scale | 미리 선택한 도면요소를 기준점을 선택해 원하는 비율로 늘리거나 줄인다. |
Mirror | ![]() |
mi, mirror | 미리 선택한 도면요소를 두개의 선택점을 축으로 대칭의 이미지를 만든다 팝업창을 통해 원본 도면요소를 유지할 수 있다. |
Move and Rotate | ![]() |
X | 미리 선택한 도면요소를 기준점을 선택해주고 이동할 점을 선택하여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키며, 이동하거나 복제를 한다. |
Rotate Two | ![]() |
X | 미리 선택한 도면요소를 첫번째 기준점으로 회전시키며, 두번째 기준점으로 한번 더 회전시킨다. 팝업메뉴를 통해 원본을 유지하거나 원하는 숫자만큼 복제할 수 있다. |
Revert direction | ![]() |
revert | 하나 이상의 선택한 도면요소의 시작점과 끝점을 바꾼다. |
Trim | ![]() |
tm, trim | 하나의 도면요소를 기준으로 대상 도면요소의 교차점을 지나는 선을 자르거나 기준 도면요소에 미치지 못한 대상을 연장한다. |
Trim Two | ![]() |
t2, tm2 | 두개의 도면요소를 기준으로 대상 도면요소의 교차점을 지나는 선을 자르거나 기준 도면요소에 미치지 못한 대상을 연장하여 붙인다. |
Lengthen | ![]() |
le, Lengthen | 연장할 길이를 정해주고 원하는 도면요소를 선택해 도면요소를 연장시킨다. |
Offset | ![]() |
o, pa, offset, parallel | 그릴 선의 갯수와 간격을 지정해 놓고 기존선을 선택해 선을 그린다 선그리기 아이콘의 Parallel과 완전 동일한 명령이다. |
Bevel | ![]() |
ch, bevel | 미리지정해 놓은 길이로 두 도면요소의 모서리를 모따기 해준다. 두 도면요소가 떨어져 있으면 연장한다. |
Fillet | ![]() |
fi, fillet | 미리 지정해 놓은 반지름으로 두 도면 요소의 모서리를 라운딩 해준다. 두 도면요소가 떨어져 있으면 연장한다. |
Divide | ![]() |
di, div, cut | 자를 도면요소를 선택해 주고 자를 점을 선택해서 도면요소를 두개로 자른다. 스냅모드가 모두 활성화 되어있지 않으면 자를 점을 특정할 수가 없어서 스냅모드 중 하나를 켜서 정확히 포인트를 잡아줘야한다. |
Stretch | ![]() |
ss, stretch | 두개의 선택점으로 사각 영역을 만들어 도면요소를 선택하고 기준점을 선택해서 도면요소를 늘이거나 줄인다. |
Properties | ![]() |
mp, prop, properties | 선택한 도면요소의 레이어, 펜속성, 도면요소의 고유 속성을 변경한다. |
Attributes | ![]() |
ma, attr | 선택한 도면요소들의 레이어, 펜속성 을 변경한다. |
Explode Text into Letters | ![]() |
X | 텍스트 문자열을 개별 문자로 분리한다. |
Explode | ![]() |
xp, explode | 하나로 묶여있는 도면요소를 각각의 도면요소로 분리한다. (ex. 다각형) |
Delete selected | ![]() |
er, "Del" | 선택한 도면요소를 지운다. |
Move to top | ![]() |
"home" | 선택한 도면요소를 맨 위로 올린다. |
Move to bottom | ![]() |
"End" | 선택한 도면요소를 맨 아래로 내린다. |
Raise over entity | ![]() |
"Page up" | 선택한 도면요소를 한계층 위로 올린다. |
lower after entity | ![]() |
"Page down" | 선택한 도면요소를 한계층 아래로 내린다. |
관련글
2021.04.06 - [강좌/리브레캐드(LibreCAD) 강좌] - 리브레캐드(LibreCAD) 명령어, 그리기 도구편
리브레캐드(LibreCAD) 명령어, 그리기 도구편
앞선 포스팅에서 명령창에서 쓰는 리브레캐드의 명령어는 오토캐드랑 많이 다르다고 언급한적이 있다.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브레캐드의 명령어를 정리해보도록 하겠다. 물론 명령어 자
dpreviewplus.tistory.com
2021.04.04 - [강좌/리브레캐드(LibreCAD) 강좌] - 오토캐드(AutoCAD)를 배운사람이 본 리브레캐드(LibreCAD)의 아쉬운점
오토캐드(AutoCAD)를 배운사람이 본 리브레캐드(LibreCAD)의 아쉬운점
AutoCAD를 배웠던 입장에서 리브레 캐드는 참 아쉬운점이 많은 CAD 프로그램인것 같다 하지만 무료프로그램으로 이정도면 훌륭하다고 생각이 들긴한다. 이번 포스팅은 AutoCAD 유저가 리브레캐드를
dpreviewplus.tistory.com
2020.11.23 - [강좌/리브레캐드(LibreCAD) 강좌] -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 2D 캐드 리브레캐드(LibreCAD)
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 2D 캐드 리브레캐드(LibreCAD)
내가 캐드를 배운건 벌써 28년 전 일이다 (헉... 내가 많이 늙었구나 ;;) 당시 고등학생이었는데, 기억으론 AutoCAD 10과 11을 썼었던 걸로 기억한다 그즈음 CAD 자격증이 처음 나왔는데
dpreviewplus.tistory.com
'강좌 > 리브레캐드(LibreCAD) 강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브레캐드(LibreCAD) 의 좌표계 (0) | 2021.04.19 |
---|---|
리브레캐드(LibreCAD) 명령어, 치수기입, 스냅, 기타명령 (0) | 2021.04.08 |
리브레캐드(LibreCAD) 명령어, 그리기 도구편 (0) | 2021.04.06 |
오토캐드(AutoCAD)를 배운사람이 본 리브레캐드(LibreCAD)의 아쉬운점 (0) | 2021.04.04 |
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 2D 캐드 리브레캐드(LibreCAD) (0) | 2020.11.23 |
댓글